홈자격정보국가자격비상대비 자원관리종목 국가자격 종목별 상세정보 전기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Electricity 관련부처 산업통상자원부 시행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험정보 기본정보 우대현황 일자리정보 기본정보 개요 전기는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이지만 관련설비의 시공과 작동에 있어서도 전문성이 요구 되는 분야이다. 이에 따라 전기를 합리적으로 사용하고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제반 환경을 조성하고 전문화된 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변천과정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META content="TAGFREE Active Designer v3.0" name=GENERATOR> <LINK href="http://www.q-net.or.kr/editor_css/editor_default.css" rel=stylesheet> </HEAD> <BODY> <P style="TEXT-ALIGN: center" align=center><!--StartFragment--> </P> <P class=HStyle0 align=center>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border=1> <TBODY> <TR>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40>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1974년</SPAN></P>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대통령령 제7283호, 1974.10.16)</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40>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1980년</SPAN></P>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대통령령 제10124호, 1980.12.31)</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40>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1998년</SPAN></P>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대통령령 제15794호, 1998.5.9)</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40>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2008년</SPAN></P>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노동부령 제311호, 2008.11.26)</SPAN></P></TD> </TR> <TR>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32>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기기(Ⅰ)기능사1급</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63 rowSpan=2>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기기기능사1급</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63 rowSpan=2>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기기산업기사</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98 rowSpan=3>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산업기사</SPAN></P></TD> </TR> <TR>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31>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기기(Ⅱ)기능사1급</SPAN></P></TD> </TR> <TR>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35>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기사2급</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35>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기사2급</SPAN></P></TD> <TD vAlign=center width=142 height=35> <P class=HStyle0 style="TEXT-ALIGN: center"><SPAN>전기산업기사</SPAN></P></TD> </TR> </TBODY> </TABLE></P> </BODY> </HTML> 수행직무 전기기계기구의 설계, 제작, 관리 등과 전기설비를 구성하는 모든 기자재의 규격, 크 기, 용량 등을 산정하기 위한 계산 및 자료의 활용과 전기설비의 설계, 도면 및 시방 서 작성, 점검 및 유지, 시험작동, 운용관리 등에 전문적인 역할과 전기안전 관리 담당 자로서의 업무수행. 실시기관 홈페이지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lang="ko" xml:lang="ko"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전기산업기사 실시기관 홈페이지</title> <meta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http-equiv="Content-Type" /> <style type="text/css"> BODY { FONT-SIZE: 10pt; FONT-FAMILY: Malgun Gothic; COLOR: #000000; MARGIN: 0px } P { MARGIN-BOTTOM: 0px; MARGIN-TOP: 0px; LINE-HEIGHT: 1.2 } LI { MARGIN-BOTTOM: 0px; MARGIN-TOP: 0px; LINE-HEIGHT: 1.2 }</style> </head> <body style="FONT-SIZE: 10pt; FONT-FAMILY: Malgun Gothic"><span style="FONT-SIZE: 12pt">http://www.q-net.or.kr</span> </body> </html> 실시기관명 한국산업인력공단 진로 및 전망 -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건설현장, 발전소, 변전소, 아파트전기실, 빌딩제 어실 등에 취업할 수 있다. - 전기는 모든 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에너지로 단시간 정전이 발생한다하더라 도 큰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조작시 안전사고를 불러일으 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또한 전기관련설비의 시공품질 을 향상시키는 전문인력의 수요는 꾸준할 전망이고 이에 따라 매년 많은 인원이 응시 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송유관사업법」에 의해 송유관사업체의 안전관리책임자 로 「전기사업법」에 의해 발전소, 변전소 및 송전선로내 배전선로의 관리소를 직접 통할하는 사업장에 전기안전관리담당자로 고용될 수 있어 자격증 취득시 취업에 휠 씬 유리하다. 종목별 검정현황 연도, 필기, 실기 ,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합격, 합격률(%) 항목 순으로 종목별 검정현황 안내표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4 31,584 6,189 19.6% 10,961 3,105 28.3% 2023 29,955 5,577 18.6% 11,193 5,668 50.6% 2022 31,121 6,692 21.5% 16,223 3,917 24.1% 2021 37,892 6,991 18.4% 18,416 5,020 27.3% 2020 34,534 8,706 25.2% 18,082 4,955 27.4% 2019 37,091 6,629 17.9% 13,179 4,486 34% 2018 30,920 6,583 21.3% 12,331 4,820 39.1% 2017 29,428 5,779 19.6% 12,159 4,334 35.6% 2016 27,724 5,790 20.9% 11,031 2,933 26.6% 2015 24,075 4,582 19% 10,837 3,528 32.6% 2014 20,663 3,565 17.3% 7,352 2,187 29.7% 2013 20,164 3,097 15.4% 6,030 1,649 27.3% 2012 20,834 2,507 12% 5,388 2,576 47.8% 2011 21,096 3,090 14.6% 7,152 1,969 27.5% 2010 21,526 3,587 16.7% 8,332 2,776 33.3% 2009 20,939 3,480 16.6% 8,082 1,797 22.2% 2008 19,224 3,222 16.8% 6,129 1,868 30.5% 2007 19,936 3,193 16% 6,355 1,881 29.6% 2006 20,812 3,992 19.2% 6,887 3,090 44.9% 2005 17,096 3,129 18.3% 4,740 2,100 44.3% 2004 12,939 2,065 16% 3,399 1,022 30.1% 2003 11,082 1,934 17.5% 3,330 1,413 42.4% 2002 10,532 1,896 18% 3,325 1,286 38.7% 2001 10,401 1,984 19.1% 3,515 1,365 38.8% 1978~2000 245,064 49,544 20.2% 71,117 26,950 37.9% 소 계 806,632 153,803 19.1% 285,545 96,695 33.9% 목록 인쇄